베어_
TechBear
베어_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336)
    • Spring (33)
      • 개념 (13)
      • Security (5)
      • 실습 (1)
      • 토비 스프링 (11)
    • JPA (6)
    • 프로젝트 기록 (24)
    • DB (13)
    • JAVA (18)
    • 알고리즘 (50)
      • 유형정리 (8)
      • Baekjoon (21)
      • LeetCode (18)
    • 디자인패턴 (0)
    • 개발서적 (79)
      • Effective Java (78)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1)
    • 독후감 (4)
    • 보안 (2)
    • 운영체제(OS) (53)
      • 공룡책 (53)
    • 컴퓨터 네트워크 (28)
      • 컴퓨터 네트워크 하향식 접근 (23)
    • 자료구조 (1)
    • DevOps (2)
    • 앱 개발 (20)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20)

블로그 메뉴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알고리즘
    • 백준
    • 함수형인터페이스
    • leetcode
    • java
    • 스레드
    • jpa
    • 자바
    • BFS
    • 데이터베이스
    • 토비스프링
    • dfs
    • 코드업
    • 이펙티브자바
    • 운영체제
    • 스프링시큐리티
    • 스프링
    • Spring
    • C++
    • 자바8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베어_

    TechBear

    [컴퓨터 네트워크] 패킷 교환의 지연, 소실 그리고 처리율
    컴퓨터 네트워크/컴퓨터 네트워크 하향식 접근

    [컴퓨터 네트워크] 패킷 교환의 지연, 소실 그리고 처리율

    2020. 9. 16. 22:25

    패킷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전달되는데 다양한 지연을 겪게 된다.

    1 ) 노드 처리 지연 - 패킷을 어디로 보낼지ㅣ 결정하는 시간

    2 ) 큐잉 지연 - 패킷이 링크(선)으로 전송되기를 기다리는 것

    ​

    3 ) 전송 지연 - 패킷의 길이를 L비트, 라우터에서 라우터까지 연결된 링크의 전송률을 R bps. (R은 링크의 전송률에 의해 결정됨)

                             - 전송 지연 = L / R

    4 ) 전파 지연 - 링크의 처음부터 라우터까지 전파에 필요한 시간.

                             - 두 라우터 사이의 거리를 전파속도로 나눈 것. d / s

     

    [전송 지연 vs 전파 지연]

    *전송 지연은 라우터가 패킷을 내보내는 데 필요한 시간

    *전파 지연은 비트가 한 라우터에서 다음 라우터로 전파되는 데 걸리는 시간

     

    [패킷 손실]

    큐 버퍼에 공간이 없어 데이터 손실이 일어나는 것.

     

    [참조] Computer Networking: A Top Down Approach - J.F Kurose and K.W. Ross

      '컴퓨터 네트워크/컴퓨터 네트워크 하향식 접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 보안
      •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처리율(throughput)
      • [컴퓨터 네트워크] 회선 교환
      •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 코어 - 큐잉 지연과 패킷 손실
      베어_
      베어_
      Today I learned | 문제를 해결하는 개발자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