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컴퓨터 네트워크] 패킷 교환의 지연, 소실 그리고 처리율

    [컴퓨터 네트워크] 패킷 교환의 지연, 소실 그리고 처리율

    패킷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전달되는데 다양한 지연을 겪게 된다. 1 ) 노드 처리 지연 - 패킷을 어디로 보낼지ㅣ 결정하는 시간 2 ) 큐잉 지연 - 패킷이 링크(선)으로 전송되기를 기다리는 것 ​ 3 ) 전송 지연 - 패킷의 길이를 L비트, 라우터에서 라우터까지 연결된 링크의 전송률을 R bps. (R은 링크의 전송률에 의해 결정됨) - 전송 지연 = L / R 4 ) 전파 지연 - 링크의 처음부터 라우터까지 전파에 필요한 시간. - 두 라우터 사이의 거리를 전파속도로 나눈 것. d / s [전송 지연 vs 전파 지연] *전송 지연은 라우터가 패킷을 내보내는 데 필요한 시간 *전파 지연은 비트가 한 라우터에서 다음 라우터로 전파되는 데 걸리는 시간 [패킷 손실] 큐 버퍼에 공간이 없어 데이터 손실이 ..

    [컴퓨터 네트워크] 회선 교환

    [컴퓨터 네트워크] 회선 교환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에는 전에 포스팅한 패킷 교환과 회선 교환이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회션 교환에 대해 설명해보려고 한다. ​ [회선 교환] 회션 교환은 기본적으로 예약시스템과 비슷하다. 즉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스위치들이 연결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회선). 따라서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이 연결은 유지되므로 효율성은 낮다. 아래 처럼 4개의 스위치와 4개의 링크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가정해보자 이런 경우 각 종단 시스템들끼리의 연결은 정해진 루트를 따라 전달되게 되며 다른 종단시스템과 공유하지 않는다. ​ [회선 교환에서의 다중화] 한 회선은 주파수-분할 다중화(FDM) 혹은 시-분할 다중화(TDM)으로 구현된다. ​ FDM - 주파수를 기준으로 공유한다. TDM - 시간 프레임으로 ..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 코어 - 큐잉 지연과 패킷 손실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 코어 - 큐잉 지연과 패킷 손실

    [큐잉 지연과 패킷 손실] A,B소스가 한 라우터에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고 해보자. ​ 소스에서 라우터에서의 전달 속도가 라우터에서 목적지까지의 속도보다 훨씬 빠르다면 데이터는 라우터에서 기다릴 공간이 필요한데 이 공간을 출력 버퍼(출력 큐)라고 한다. 그리고 데이터가 출력 큐에서 기다리고 있는 상태를 큐잉 지연이라고 한다. ​ 하지만 많은 데이터가 계속 라우터에 전달이 된다면 어떻게 될까? 라우터에는 데이터를 저장할 공간이 없고 결국 패킷 손실이 발생한다. [전달 테이블과 라우팅] 전달 할 수 있는 라우터가 많은 경우는 어떨까? 이런 경우 어떤 라우터로 데이터를 전달 하지 정해야 한다. 이런 과정을 라우팅이라고한다. 라우팅은 전달 테이블에 근거하여 정해진다. ​ [참조] Computer Networki..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 코어 - 패킷 교환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 코어 - 패킷 교환

    파란색으로 된 부분들을 네트워크 코어라고 한다. ​ [네트워크 코어란?] 인터넷의 종단 시스템을 연결하는 패킷 스위치들과 링크들의 연결망을 말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패킷 스위치(패킷 교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 ​ [패킷 스위치] 송신 시스템에서 목적기까지 메세지를 보내기 위해 송신 시스템은 긴 메세지를 패킷이라고 하는 작은 데이터 덩어리로 분리한다. 이 패킷의 각각은 L비트로 구성된다고 가정하자. 패킷 스위치는 이런 패킷을 저장 후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림 처럼 긴 메세지를 3개의 패킷으로 쪼갰다고 하면 이 패킷은 한 패킷의 비트가 라우터에 저장 된 후에 종단시스템으로 하나씩 전달된다. ​ 처리 시간은 어떻게 될까? 1) 비트가 전파 되는 속도는 무시한다(매우 빠르기 때문) 2) L/..

    [컴퓨터 네트워크] 인터넷의 구성요소(용어 정리)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한 2가지 방법이 존재하는데 하나는 인터넷의 구성요소(너트와 볼트)를 기술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분산 애플리케이션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킹 인프라 구조 관점에서 인터넷을 기술하는 것이다. 이런 과정들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용어들이 등장하는데 이런 용어들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 *호스트 = 종단 시스템 ) 스마트폰, 자동차, 가전 제품 등 인터넷에 연결되는 컴퓨터와 다른 장치. 통신 링크와 패킷 스위치의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 *패킷 ) 세그먼트와 헤더로 나누어 만들어진 정보 패키지 목적지 종단 시스템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보내지고 목적지에서 원래의 데이터로 다시 조립됨. ​ *패킷 스위치 ) 라우터 / 링크 계층 스위치 입력 통신 링크의 하나로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