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어_
TechBear
베어_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336)
    • Spring (33)
      • 개념 (13)
      • Security (5)
      • 실습 (1)
      • 토비 스프링 (11)
    • JPA (6)
    • 프로젝트 기록 (24)
    • DB (13)
    • JAVA (18)
    • 알고리즘 (50)
      • 유형정리 (8)
      • Baekjoon (21)
      • LeetCode (18)
    • 디자인패턴 (0)
    • 개발서적 (79)
      • Effective Java (78)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1)
    • 독후감 (4)
    • 보안 (2)
    • 운영체제(OS) (53)
      • 공룡책 (53)
    • 컴퓨터 네트워크 (28)
      • 컴퓨터 네트워크 하향식 접근 (23)
    • 자료구조 (1)
    • DevOps (2)
    • 앱 개발 (20)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20)

블로그 메뉴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자바
    • Spring
    • 스프링
    • BFS
    • jpa
    • 알고리즘
    • C++
    • 코드업
    • leetcode
    • 스프링시큐리티
    • 운영체제
    • dfs
    • 스레드
    • 데이터베이스
    • 백준
    • 함수형인터페이스
    • 이펙티브자바
    • 자바8
    • 토비스프링
    • java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베어_

    TechBear

    [운영체제] 커널 메모리
    운영체제(OS)/공룡책

    [운영체제] 커널 메모리

    2021. 6. 12. 15:03

    커널 메모리를 관리할 때 사용자 공간과 분리하는게 일반적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 커널은 크기가 서로 다른 다양한 자료 구조를 사용

    -> 단편화 문제가 발생함.

    2 ) 사용자 모드 프로세스는 연속적인 메모리가 필요 없는데 특정 하드웨어 장치는 물리적으로 연속적인 메모리가 있어야 한다.


    [커널 메모리 할당 방법]

    1 ) 버디 시스템

    -> 2의 지수승 크기로 할당한다.

     

    256KB의 메모리 사용이 가능하다고 할 때, 21K의 메모리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확인해보자

    21보다 크지만 내부 단편화가 가장 적어질 때 까지 2로 나누는 과정을 반복한다. (32KB에 할당됨.)

    만약 할당된 프로세스( 21KB )가 종료되었다면 32KB 두개를 합칠 수 있다. 이것을 합병(coalesce)라고 한다. 

     

    2 ) 슬랩 할당(Slap Allocator)

    • Slab : 하나 이상의 연속된 페이지들로 구성 

               -> full / empty / partial 상태

               -> partial -> empty -> new empty 순으로 할당이 이루어짐.

    • Cache : 하나 이상의 슬랩들로 구성

           -> 캐쉬는 커널 자료구조 하나당 하나의 캐쉬 존재 ( 파일 객체를 위한 캐시, 세마포어를 위한 캐시 등)

     

    3KB 크기의 2개의 커널 객체와 7KB 크기의 3개의 객체가 있고 각 객체는 개별 캐시에 저장된다.

    캐시는 객체의 크기만큼 물리메모리를 쓰기 때문에 단편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슬랩 할당 장점> 

           1. 단편화에 의해 낭비되는 메모리가 없다

           2. 메모리 요청이 빠르게 처리된다.


    이외의 이슈들

     

    [프리페이징]

    작업 집합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프로세스마다 작업 집합에 속한 페이지 리스트들을 가지고 있음. 나중에 프로세스가 실행을 다시 시작할 때 작업 집합을 모두 메모리에 올려 놓음. 

     -> 주로 초기 지역성을 메모리로 가져올 때 유리

     

    [페이지 크기를 정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들]

    1. 단편화
    2. 페이지 테이블 사이즈
    3. 정밀도 : 얼마나 정밀하게 로딩하는지 (작을수록 좋음)
    4. I/O오버헤드 : 클수록 빠름.
    5. 페이지 폴트 수
    6. 지역성 : 작을수록 잘 반영
    7. TLB 크기와 성능 : 클수록 좋다.

    [I/O interlock]

    페이지 교체를 할 때 I/O장치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면 페이지 교체하면 안된다. (덮어쓰기가 되기 때문)

     -> 페이지가 다른 쪽에서 사용 못하도록 LOCK을 건다.

      '운영체제(OS)/공룡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운영체제] 디스크 관리
      • [운영체제] 디스크와 디스크 스케쥴링
      • [운영체제] 스레싱
      • [운영체제] 프레임 할당
      베어_
      베어_
      Today I learned | 문제를 해결하는 개발자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