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크는 트랙으로 구성이 되어 있고 트랙은 다시 섹터로 나누어진다. 동일한 암 위치에 있는 트랙의 집한은 하나의 실린더를 형성한다.
여기서 디스크 암이 원하는 실린더로 움직이는 데 걸리는 시간을 탐색 시간(Seek Time)이라고 하며, 원하는 섹터가 디스크 헤드 위치까지 회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회전지연시간이라고 한다.
[Hard Disk]
접근 지연 시간 = 평균 접근 시간 = Seek time + rotational latency
평균 I/O시간 = 평균 접근 시간 + 전송 시간 + 컨트롤로 오버헤드
[Disk structure]
디스크는 섹터 들의 연속이며, Sector 0은 첫 번째 트랙의 첫 번째 섹터를 가리킴.
운영체제는 디스크마다 큐를 가지고 디스크를 관리한다.
이 때 운영체제가 디스크에 접근을 더 빨리 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 Seek time을 최소화 하는 방안을 찾아야 함.
queue = 98, 183, 37, 122, 14, 124, 65, 67
head starts at 53.
1 ) FCFS : 들어온 순서대로 처리하는 방법
98 → 183 → 37 → 122 → 14 → 124 → 65 → 67
2 ) SSTF : 현재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애들 순으로 처리.
37 -> 14 -> 65 -> 67 -> 98 -> 122 -> 124 -> 183
단점 : 처리 중에 새로운 처리들이 들어오면 근처에 있는 애들만 실행될 수 있음.
3 ) SCAN : 한 뱡향으로 먼저 쭉 처리 하는 방법
단점 : 다른 방향에서 오래기다려야함.
→ 개선 1 ) C - SCAN : 한 방향으로 쭉 처리하면 다른 방향으로 바로 넘어가서 처리
→ 개선 2 ) C - LOOK : 한 방향의 마지막 요청을 처리하면 끝을 찍는 것이 아니라 바로 넘어감.
그렇다면 위에 소개한 알고리즘 중에 어떤 알고리즘을 선택해야 할까?
→ 1 ) 대량의 요청이 들어오면 SCAN기반의 방식이 다른 요청들의 평균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 2 ) 대량의 요청이 아니라면 SSTF 또는 LOOK방식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