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토비 스프링] CH2-1. 테스트

    테스트의 필요성 테스트란 결국 내가 예상하고 의도했던 대로 코드가 정확히 동작하는지를 확인해서, 만든 코드를 확신할 수 있게 해주는 작업이다. 보통 웹 프로그램에는 웹 화면을 통해 값을 입력하고 기능을 수행하고, 결과를 확인하는 식으로 테스트한다. 하지만 이는 DAO에 대한 테스트로서는 단점이 너무 많다. 테스트하고 싶었던 건 UserDao였는데 다른 계층의 코드와 컴포넌트, 서버 설정 상태까지 모두 테스트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런 방식으로 테스트를 하게 되면, 정확한 오류 지점을 파악하기 힘들다. 따라서 테스트하고자 하는 대상이 명확하다면 그 대상에만 집중해서 테스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스트를 할 때도 관심사의 분리 원리가 적용된다. 작은 단위의 코드에 대해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을 단위 테스트라..

    [토비 스프링] 의존관계 주입(DI)

    [토비 스프링] 의존관계 주입(DI)

    의존관계 주입(DI) 제어의 역전과 의존관계 주입 DaoFactory처럼 객체를 생성하고 관계를 맺어주는 등의 작업을 담당하는 기능을 일반화한 것이 스프링의 IoC 컨테이너이다. 스프링이 제공하는 IoC방식의 핵심은 의존 관계 주입(DI)이다. 의존성 주입이란 오브젝트 레퍼런스를 외부로부터 제공(주입)받고 이를 통해 여타 오브젝트와 다이나믹하게 의존관계가 만들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의존관계 두 개의 클래스 또는 모듈이 의존관게에 있다는 할 때는 항상 방향성이 존재한다. 다음에서는 A가 B에 의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A는 B에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B에서 특정 메소드가 추가 혹은 수정되면 A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UserDao의 의존관계 UserDao의 의존관계를 살펴보면 ConnectionMaker라..

    [토비 스프링] CH1-3. 싱글톤 레지스트리와 오브젝트 스코프

    [토비 스프링] CH1-3. 싱글톤 레지스트리와 오브젝트 스코프

    DaoFactory와 스프링 IoC의 차이 DaoFactory를 직접 사용하는 것과 @Configuration 애노테이션을 추가해서 스프링의 에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통해 사용하는 것은 테스트 결과만 보자면 동일한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다음은 DaoFacotry의 userDao() 메소드를 두 번 호출해서 리턴되는 UserDao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코드이다. public class EqualityCheck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aoFactory factory = new DaoFactory(); UserDao dao1 = factory.userDao(); UserDao dao2 = factory.userDao(); System.out.println..

    [토비 스프링] CH1-2. 제어의 역전

    [토비 스프링] CH1-2. 제어의 역전

    제어의 역전(IoC) 오브젝트 팩토리 초난감 DAO를 리팩토링 하는 과정에서 생긴 UserDaoTest를 살펴보자. 이 클래스는 어떤 ConnectionMaker구현 클래스를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기능을 엉겁결에 떠맡았다. 하지만 원래 UserDaoTest는 UserDao의 기능이 잘 동작하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다. 성격이 다른 책임이나 관심사는 분리해버리는 과정은 지금까지 해왔던 주요한 작업이다. 따라서 이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 public classUserDaoTest { public static voidmain(String[] args)throwsClassNotFoundException, SQLException { ConnectionMaker connectionMaker =newDConnect..

    [토비 스프링] Ch1.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CH1 에서는 오브젝트의 설계와 구현, 동작원리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자. 엉망진창의 UserDao 사용자 정보를 JDBC API를 통해 DB에 저장하고 조회할 수 있는 간단한 DAO를 만들어보자. DAO : DB를 사용해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조작하는 기능을 전담하도록 만든 오브젝트. 먼저 Dao에서 사용할 User객체를 생성한다. 위의 형식처럼 스프림 프레임워크에서는 자바빈 규약을 지켜 작성한다. 자바빈 : 디폴트 생성자와 프로퍼티를 가진 오브젝트 디폴트 생성자 : 파라미터가 없는 디폴트 생성자 프로퍼티 : 자바빈이 노출하는 이름을 가진 속성으로 getter, setter public class User { String id, name, password; public String g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