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어_
TechBear
베어_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336)
    • Spring (33)
      • 개념 (13)
      • Security (5)
      • 실습 (1)
      • 토비 스프링 (11)
    • JPA (6)
    • 프로젝트 기록 (24)
    • DB (13)
    • JAVA (18)
    • 알고리즘 (50)
      • 유형정리 (8)
      • Baekjoon (21)
      • LeetCode (18)
    • 디자인패턴 (0)
    • 개발서적 (79)
      • Effective Java (78)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1)
    • 독후감 (4)
    • 보안 (2)
    • 운영체제(OS) (53)
      • 공룡책 (53)
    • 컴퓨터 네트워크 (28)
      • 컴퓨터 네트워크 하향식 접근 (23)
    • 자료구조 (1)
    • DevOps (2)
    • 앱 개발 (20)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20)

블로그 메뉴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자바
    • Spring
    • 함수형인터페이스
    • BFS
    • dfs
    • 백준
    • 토비스프링
    • java
    • 운영체제
    • jpa
    • 코드업
    • leetcode
    • C++
    • 데이터베이스
    • 스프링
    • 이펙티브자바
    • 자바8
    • 스프링시큐리티
    • 알고리즘
    • 스레드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베어_

    TechBear

    [Java] Supplier 함수 인터페이스와 Lazy Evaluation
    JAVA

    [Java] Supplier 함수 인터페이스와 Lazy Evaluation

    2022. 5. 16. 11:00

    Supplier<T>

       T타입의 값을 제공하는 함수 인터페이스이다. T타입의 값을 제공 받고 리턴도 하지 않아 이 인터페이스가 왜 필요한지 의문이 들 수 있는데 주로 Lazy Evaluation에 사용이 된다.

     

    Lazy Evaluation

       불필요한 연산을 피하기 위해 연산을 지연시켜놓았다가 필요할 때 연산하는 방법.

     

    예시를 통해 Lazy Evaluation에 대해 알아보자.

    1. printState에서는 valid가 true이면 value + word, false이면 wrong world를 출력한다.

    public void printState(boolean valid, String value) {
    	if(valid) { 
    		System.out.println(value + " world");
    	 } else {
    		System.out.println("wrong world");
    	 }
    }

     

    2. printState를 호출할 때 value에 1초를 지연시키고 "vanilla"를 리턴하는 함수를 넘겨준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ong start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printState(true, getName());
        printState(false, getName());
        printState(false, getName());
    
        System.out.println((System.currentTimeMillis() - startTime) / 1000 + "sec");
    }
    
    public static String getName() {
        try {
            TimeUnit.SECONDS.sleep(1);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throw new RuntimeException(e);
        }
        return "Hello ";
    }

     

    여기서 인자로 getName()함수를 넘기면 printState는 value의 값을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getName이 호출되고 , value에 "Vanilla"라는 값이 바인딩 된다.

     

    Supplier 적용

    이번에는 Supplier를 이용하여 lazy evaluation을 적용해보자. String value로 받던 매개변수를 Supplier로 교체하자. 

    public void printState(boolean valid, Supplier<String> valueSupplier) {
        if(valid) { 
            System.out.println(value + " world");
         } else {
            System.out.println("wrong world");
         }
    }

     

    valueSupplie.get()이 valid일 때만 호출이 되기 때문에 1초만에 출력이 끝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ava] JVM이란?
      • [Java] Optional의 개념과 사용
      • [Java] 자바에서 제공하는 함수형 인터페이스
      • [Java] 함수형 인터페이스와 람다 표현식
      베어_
      베어_
      Today I learned | 문제를 해결하는 개발자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