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어_
TechBear
베어_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336)
    • Spring (33)
      • 개념 (13)
      • Security (5)
      • 실습 (1)
      • 토비 스프링 (11)
    • JPA (6)
    • 프로젝트 기록 (24)
    • DB (13)
    • JAVA (18)
    • 알고리즘 (50)
      • 유형정리 (8)
      • Baekjoon (21)
      • LeetCode (18)
    • 디자인패턴 (0)
    • 개발서적 (79)
      • Effective Java (78)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1)
    • 독후감 (4)
    • 보안 (2)
    • 운영체제(OS) (53)
      • 공룡책 (53)
    • 컴퓨터 네트워크 (28)
      • 컴퓨터 네트워크 하향식 접근 (23)
    • 자료구조 (1)
    • DevOps (2)
    • 앱 개발 (20)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20)

블로그 메뉴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BFS
    • 자바8
    • jpa
    • 운영체제
    • 스프링시큐리티
    • 백준
    • 스프링
    • 자바
    • 토비스프링
    • leetcode
    • 스레드
    • 데이터베이스
    • C++
    • 알고리즘
    • 이펙티브자바
    • dfs
    • Spring
    • 함수형인터페이스
    • 코드업
    • java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베어_

    TechBear

    개발서적/Effective Java

    [Effective Java] finalizer와 cleaner 사용을 피하라

    2023. 5. 16. 05:57

    두 가지 객체 소멸자

    자바는 두 가지 객체 소멸자를 제공한다. 첫 번째는 finalizer이고, 두 번째는 cleaner이다. 기본적으로 이 두가지 객체 소멸자는 가능한 사용을 지양해야 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JVM 알고리즘에 따라 실행이 언제되는지 알 수 없다.
    2. 수행 여부조차 보장하지 않는다.
    3. finalizer 동작 중 발생한 예외는 무시되며, 처리할 작업이 남아있어도 바로 종료된다.
      => fianlizer 공격에 노출되어 심각한 보안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 예를 들어 생성자나 직렬화 과정에서 예외가 발생하면, 불안정하게 생성된 객체에서 악의적인 하위 클래스의 finalizer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자바 9부터는 finalizer는 사용 자제 API로 지정하고 그 대안으로 cleaner를 소개한다.
       -> cleaner는 자신의 스레드를 통제하기 때문에 3번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두 가지 객체 소멸자가 존재하는 이유가 있다.

    1. 자원의 소유자가 close 메서드를 호출하지 않는 것에 대비한 안정망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2. 자바의 객체가 아닌 네이티브 피어와 연결된 객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 GC는 네이티브 피어의 존재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동작하지 않는다.

    AutoCloseable

    finalizer와 cleaner를 대신해줄 수 있는 것이 AutoCloseable을 구현하고, 클라이언트에서 인스턴스를 다 쓰고 나면 close 메서드를 호출하는 것이다.

    import java.io.FileNotFoundException;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AutoCloseablePractice implements AutoCloseable {
        private BufferedReader br;
    
        public AutoCloseablePractice(String path) {
            try {
                this.reader = new BufferedReader(new FileReader(path));
            } catch (FileNotFoundException e)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path);
            }
        }
    
        @Override
        public void close() {
            try {
                reader.close();
            } catch (IOException e) { // Runtime예외임에도 불구하고 예외를 잡을 때는 가장 구체적인 예외로 잡는 것이 좋다.
                throw new RuntimeException(e);
            }
        }
    }

    이렇게 AutoCloseable을 구현하면 try-resource문을 이용하면 try문이 끝날 때 자동으로 자원을 반납해준다.

    public class Clie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ry (AutoCloseablePractice acp = new AutoCloseablePractice("")) {
                ...
            }
        }
    }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개발서적/Effective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Effective Java] equals는 일반 규약을 지켜 재정의하라
      • [Effective Java] try-finally보다는 try-with-resources를 사용하라
      • [Effective Java] 다 쓴 객체 참조를 해제하라
      • [Effective Java] 자원을 직접 명시하지 말고 의존 객체 주입을 사용하라
      베어_
      베어_
      Today I learned | 문제를 해결하는 개발자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