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어_
TechBear
베어_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336)
    • Spring (33)
      • 개념 (13)
      • Security (5)
      • 실습 (1)
      • 토비 스프링 (11)
    • JPA (6)
    • 프로젝트 기록 (24)
    • DB (13)
    • JAVA (18)
    • 알고리즘 (50)
      • 유형정리 (8)
      • Baekjoon (21)
      • LeetCode (18)
    • 디자인패턴 (0)
    • 개발서적 (79)
      • Effective Java (78)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1)
    • 독후감 (4)
    • 보안 (2)
    • 운영체제(OS) (53)
      • 공룡책 (53)
    • 컴퓨터 네트워크 (28)
      • 컴퓨터 네트워크 하향식 접근 (23)
    • 자료구조 (1)
    • DevOps (2)
    • 앱 개발 (20)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20)

블로그 메뉴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함수형인터페이스
    • 자바8
    • 데이터베이스
    • 이펙티브자바
    • 백준
    • C++
    • 자바
    • 알고리즘
    • Spring
    • dfs
    • 토비스프링
    • java
    • 코드업
    • 스레드
    • 스프링
    • BFS
    • 운영체제
    • leetcode
    • 스프링시큐리티
    • jpa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베어_

    TechBear

    개발서적/Effective Java

    [Effective Java] 상속보다는 컴포지션을 사용하라

    2023. 5. 25. 01:31

    상속을 사용하면 위험한 이유 (구현 상속)

    1. 상위 클래스에서 제공하는 메서드 구현이 바뀐다면 하위 클래스의 로직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2. 상위 클래스에 기능이 추가된 경우 새로운 메서드를 하위 클래스에도 정의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컴포지션을 사용할 수 있다.

    컴포지션

    1. 전달 클래스 : 새로운 클래스를 만들고 기존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참조하는 클래스
    public class ForwardingSet<E> implements Set<E> {
        private final Set<E> s;
        public ForwardingSet(Set<E> s) { this.s = s; }
    
        public void clear()               { s.clear();            }
        public boolean contains(Object o) { return s.contains(o); }
        public boolean isEmpty()          { return s.isEmpty();   }
        public int size()                 { return s.size();      }
        public Iterator<E> iterator()     { return s.iterator();  }
        public boolean add(E e)           { return s.add(e);      }
        public boolean remove(Object o)   { return s.remove(o);   }
        public boolean containsAll(Collection<?> c)
        { return s.containsAll(c); }
        public boolean addAll(Collection<? extends E> c)
        { return s.addAll(c);      }
        public boolean removeAll(Collection<?> c)
        { return s.removeAll(c);   }
        public boolean retainAll(Collection<?> c)
        { return s.retainAll(c);   }
        public Object[] toArray()          { return s.toArray();  }
        public <T> T[] toArray(T[] a)      { return s.toArray(a); }
        @Override public boolean equals(Object o)
        { return s.equals(o);  }
        @Override public int hashCode()    { return s.hashCode(); }
        @Override public String toString() { return s.toString(); }
    }
    1. 래퍼 클래스 : 다른 인스턴스(Set)를 감싸고 있는 클래스로, 임의의 Set에 계층 기능을 덧씌어 새로운 Set으로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public class InstrumentedSet<E> extends ForwardingSet<E> {
        private int addCount = 0;
    
        public InstrumentedSet(Set<E> s) {
            super(s);
        }
    
        @Override public boolean add(E e) {
            addCount++;
            return super.add(e);
        }
        @Override public boolean addAll(Collection<? extends E> c) {
            addCount += c.size();
            return super.addAll(c);
        }
        public int getAddCount() {
            return addCou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strumentedSet<String> s = new InstrumentedSet<>(new HashSet<>());
            s.addAll(List.of("틱", "탁탁", "펑"));
            System.out.println(s.getAddCount());
        }
    }

    이런 컴포지션 방식은 한 번만 구현해두면 어떠한 Set 구현체라도 계측할 수 있으며, 기존 생성자들과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Set<Instant> times = new InstrumentedSet<>(new TreeSet<>(cmp));
    Set<E> s = new InstrumentedSet<>(new HashSet<>(INIT_CAPACITY));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개발서적/Effective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Effective Java] 추상 클래스보다 인터페이스를 우선하라
      • [Effective Java] 상속을 고려해 설계하고 문서화하라
      • [Effective Java] 변경 가능성을 최소화하라
      • [Effective Java] public 클래스에서는 public 필드가 아닌 접근자 메서드를 사용하라
      베어_
      베어_
      Today I learned | 문제를 해결하는 개발자

      티스토리툴바